-아래의 내용은 한국이슬람학회논총(2007), 제 17-1집, 이희수 박사의 논문 “중국 광저우에서 발견한 고려인 라마단 비문에 대한 한 해석(63-80쪽)”에서 발췌했습니다.-
고려사회의 무슬림 활동
몽골의 고려통치와 함께 원 간섭기에 많은 수의 무슬림 관료 사인계층들이 몽골 지배층과 함께 고려사회로 유입해 왔다. 이처럼 여말선초 국제도시 고려에는 상당수의 무슬림들이 거주하게 되었다. 그들은 통일신라시대 해로를 통한 한반도 접촉을 이어 고려왕국이 건국된 이후에도 양국 간의 교역 필요성에 의해 해로를 통해 끊임없이 접촉과 무역을 계속해 왔다. 그들은 주로 아랍-페르시아계 상인들로 1024년 이후 [고려사(高麗史)] 등 우리나라 사료에서는 대식(大食)이란 명칭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13세기 중엽 이후 고려가 몽골의 간섭을 받고 난 후부터 실크로드의 주역들은 중앙아시아 무슬림들이 담당하면서 육로를 통한 한반도 접촉과 이주가 빈번하였다. 몽골 주인을 따라 온 준지배층으로서 그들은 고려에 머물면서 뛰어난 세계정보와 교역 경험을 우리사회에 전달하였고, 고려조정의 필요에 따라 대규모 공동체를 이루며 우리사회에 정착하기도 했다.
고려 수도 개경근교에서 집단 공동체를 이루며 살았던 이주 무슬림들은 몽골공주인 고려왕비와 원나라 왕실의 비호를 받는 준지배층으로서 상당한 문화적, 종교적 자치를 누렸다. 자기들을 고유한 복장과 언어를 사용했으며, 이슬람 종교적 의례도 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 중앙아시아에서 이주해 와 정착한 무슬림들은 예궁(禮宮)이라 불리는 이슬람 성원까지 건립한 것으로 알려지도 있다(李能和 1918: 605).
이처럼 한반도에 정착한 무슬림 집단이 고려 조정에서 활동한 원나라 관리세력들로만 구성된 것은 아니었다. 상인 계층이나 가족단위의 집단이주를 통해 정착한 자들도 전국에 걸쳐 적지 않았다. 원대 중국을 통해 내한한 각계각층의 무슬림 세력들은 일정한 동질성 보존기간을 거쳐 한반도의 매력적 이점 때문에 서서히 동화되어 갔다. 특히 그들 중에는 교역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상인으로 치부하는 자들이 많았다. 그들의 재정 및 교역능력과 정보는 원 조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원 간섭하의 고려 조정에서도 별 어려움 없이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는 강점이 되었다. 이리하여 그들은 상대적으로 재정이나 교역에 어두운 고려지배층에게 경제적 욕구를 채워주는 대신 그들의 정치적, 사회적 지위를 강화하는 방편을 강구하였다. 다시 말하면, 무슬림 상인과 고려 왕실과의 불가분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고려사] 세가(世家)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충혜왕(忠惠王)이 포(布)를 무슬림 가정(回回家)에 주어 그 이익을 취하게 하고 소를 잡아 육(肉)을 날마다 15근(斤)을 바치게 하였다.> [高麗史], 권 36, 世家, 忠惠王 5年 6月條
이처럼 왕이 직접 나서 신뢰하는 무슬림 상인들에게 궁중물품의 거래를 위촉하고, 그 이익으로 왕실의 각종 비용을 충당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앞서 언급한대로 중앙아시아 출신 무슬림 상인들은 몽골제국의 동서교역을 실제로 주도하는 세력으로 교역의 경륜과 자본증식의 방책에 해박한 전문가적 지식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고려왕실의 재정결핍을 보충하는 데 상당한 실무적 기여를 할 수 있는 여건에 있었다.
더욱이 그들은 동업자 조합인 <오르탁(Ortaq)>을 설립하여 북중국 역내교역(域內交易)을 거의 독점하고 있었으므로 당시 고려-원나라 무역에도 깊이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슈르만(Shurman)은 위구르인들의 오르탁 제도가 한국 상인들에게도 소개되었고 고려에서도 그 기능을 발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히고 있다. [경세유표(經世遺表)]의 기록도 한국 상인들이 전매제의 실시와 오르탁제도의 본질에 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경세유표]는 민간 전매제도를 간단히 소개한 다음, 전매제가 송(宋)과 원초(元初) 조정에 끼친 피해와 악영향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經世遺表 卷 10-3: 86)
무슬림들의 해외교역은 몽골 공주 주위에서도 활발하였다. 심지어 공주 자신이 교역의 이점과 재산증식에 끌려, 무슬림 상인을 내세워 남송(南宋)과 인삼, 잣 등의 교역에 종사하기도 했다.(高炳翊 1984: 135). 이처럼 왕실주위에는 능력있는 무슬림 상인들이 상주하면서 왕족들을 대신해 수익성 높은 거래를 보장해 주었다. 그리하여 한때 개성에는 무슬림들이 경영하는 상점이 있어 그들의 고유한 물자가 고려사회에 널리 생산 판매되기도 했다.
고려인 라마단 그는 누구일까?
1. 광서성 육천현 다루가치 라마단
다루가치는 정복지를 통치하기 위해 원 중앙정부에서 임명하는 지방 행정수반으로 거의 몽골족이 차지하던 직책이었다. 특수한 경우에 색목인들에게도 그 기회가 주어졌으나, 준지배층인 색목인 그룹에서 제외되어 있던 중국인이나 고려인들에게는 거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색목인은 투르크계인 위구르인들을 중심으로 이슬람인, 유럽, 인도계 등으로 구성되었다. 원나라는 중국과 달리 농업이나 유학보다는 상업을 가장 중시하였기 때문에(이이화 1999: 232-233), 국제무역의 전문가 그룹인 색목인들이 지방 통치자로 발탁된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라마단이 봉직했던 광서 육천현은 베트남과 인접한 국경지대로서 동남아시아와 중국대륙을 오가는 해상무역의 중요한 거점으로 일찍부터 번성하던 전략적 요충지였다. 국제교역의 전문가 집단인 무슬림으로 다루가치를 삼은 이유 중의 하나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루가치 직을 맡은 라마단은 색목인 준지배계층으로 보는 것이 보다 논리적이며, 라마단이란 이름으로 보아 이슬람계통, 더 정확히는 당시 색목인 준지배계층의 핵을 이루던 위구르-투르크계나 페르시아계 인물이었을 개연성이 가장 높다.
'easy isl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초(惠超)의 왕오천축국전-대식(大寔)이란? (0) | 2013.01.28 |
---|---|
고려인 무슬림 라마단-II (0) | 2013.01.26 |
아랍인들의 눈에 비친 신라-II (0) | 2013.01.24 |
아랍인들의 눈에 비친 신라-I (0) | 2013.01.23 |
아랍의 기록에 나타난 신라-II (0) | 2013.01.21 |